본문 바로가기
드라마

'폭싹 속았수다' 속 명곡들, 감성을 자극하는 OST 총정리

by 하니맘이랑 2025. 3. 31.
반응형

 

'폭싹 속았수다' 속 명곡들, 감성을 자극하는 OST 총정리

'폭싹 속았수다' 중 관식, 금명, 애순
'폭싹 속았수다' 중 관식, 금명, 애순(출처: 넷플릭스 페이스북)

 

넷플릭스 화제작 '폭싹 속았수다'는 단순한 멜로드라마를 넘어, 시대를 초월하는 음악과 함께하는 감성 드라마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.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제주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, 그 시대의 정서를 그대로 담은 명곡들을 OST로 활용해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.

각 장면마다 흐르는 음악은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닌, 캐릭터의 감정과 서사를 더욱 깊이 있게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드라마 속 삽입곡과 그 의미를 정리해 봅니다.

◆ '폭싹 속았수다' 속 시대별 명곡

1. 신중현 & 김정미 - ‘봄’ (1973)

드라마의 오프닝 곡으로 사용된 ‘봄’은 신중현이 작곡하고 김정미가 부른 곡으로, 따뜻한 멜로디와 함께 인생의 사계절을 표현하는 드라마의 콘셉트와 완벽히 맞아떨어집니다. "빨갛게 꽃이 피는 곳 / 봄바람 불어서 오면"이라는 가사는 애순(아이유)의 인생이 시작되는 '봄'을 의미하며, 그녀의 이야기가 펼쳐질 것임을 암시합니다.

2. 비틀스 - ‘Yesterday’ (1965)

노년의 애순(문소리)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장면에서 흐르는 ‘Yesterday’는 지난날에 대한 회한과 아련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. 이 곡은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니라, 애순이 지나온 삶을 되새기는 감정선과 조화를 이루며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.

3. 양희은 - ‘나도 몰래’ (1973)

애순과 관식(박보검)이 고등학생이 되어 시장에서 장사하는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곡으로, 순수한 첫사랑의 감정을 묘사하는 데 탁월한 역할을 합니다. 애틋한 감성과 담담한 멜로디가 어우러져 두 사람의 풋풋한 관계를 더욱 돋보이게 만듭니다.

4. 김추자 - ‘소문났네’ (1971)

애순과 관식이 부산으로 야반도주했다가 결국 다시 제주로 돌아오는 장면에서 삽입된 곡으로, 극의 전환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. 두 사람이 운명처럼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음을 암시하며, 이들의 이야기가 한층 더 깊어지는 순간을 연출합니다.

5. 김정미 - ‘바람’ (1973)

관식의 어머니 계옥(박해준)이 애순과 관식을 찾아 나서는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곡으로, 긴장감과 갈등을 고조시키는 요소로 작용합니다. 자유롭고 거친 감성이 담긴 이 곡은,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감정을 더욱 부각시킵니다.

6. 조용필 - ‘단발머리’ (1979)

애순과 관식이 성인이 되어 재회하는 순간, 배경에 흐르는 곡입니다. "잊지 못할 단발머리"라는 가사는 애순과 관식이 서로를 잊지 못하는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며, 두 사람의 인연이 다시 이어질 것을 암시합니다.

◆ 음악이 만들어낸 감동, '폭싹 속았수다'의 특별한 매력

이처럼 '폭싹 속았수다'의 OST는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, 극 중 인물들의 감정과 시대적 분위기를 완벽하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특히, 1960~80년대의 한국 가요와 해외 명곡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세대를 뛰어넘는 감성을 자극하고 있습니다. 많은 시청자들은 "음악이 드라마의 분위기를 더욱 깊게 만든다", "올드팝과 한국 가요의 조합이 신선하다"는 반응을 보이며 극찬하고 있습니다.

◆ '폭싹 속았수다' 마지막 4막에서 어떤 음악이 흐를까?

오는 28일 공개될 마지막 4막(13~16화)에서는 어떤 음악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울릴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. 애순과 관식의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순간, 어떤 곡이 흐르며 감동을 극대화할지 주목됩니다.

여러분이 가장 인상 깊었던 '폭싹 속았수다' OST는 무엇인가요? 

반응형